반응형
백준 python 알고리즘 2577 숫자의개수
- 문제
세 개의 자연수 A, B, C가 주어질 때 A × B ×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예를 들어 A = 150, B = 266, C = 427 이라면 A × B × C = 150 × 266 × 427 = 17037300 이 되고,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, 1이 1번, 3이 2번, 7이 2번 쓰였다. - 입력
첫째 줄에 A, 둘째 줄에 B,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. A, B,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 - 출력
첫째 줄에는 A × B ×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.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× B ×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차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Python |
x,y,z = 0, 0, 0
for i in range(3):
if i == 0:
x = int(input())
elif i == 1:
y = int(input())
else:
z = int(input())
val = x * y * z
arr = [int(k) for k in str(val)]
for i in range(0, 9+1):
print(arr.count(i))
백준 python 알고리즘 1157번 단어공부
- 문제
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.
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, 양의 정수 K(≤ N)가 주어진다.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.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.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.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(N, K)-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. 예를 들어 (7, 3)-요세푸스 순열은 <3, 6, 2, 7, 5, 1, 4>이다.
N과 K가 주어지면 (N, K)-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반응형
- 입력
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(1 ≤ K ≤ N ≤ 5,000) - 출력
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다.
Python |
inputData = input().upper()
searchKeys = list(set(inputData))
countArr = []
for key in searchKeys:
countArr.append(inputData.count(key))
if countArr.count(max(countArr)) > 1:
print("?")
else:
print(searchKeys[countArr.index(max(countArr))])
백준 python 10828 번 스택Stack
- 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.
push X: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.
pop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size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empty: 스택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top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 - 입력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 - 출력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Python |
import sys
loopCount = int(input())
stack = []
def push(putVal):
stack.append(putVal)
def pop():
try:
return stack.pop()
except:
return -1
def size():
return len(stack)
def empty():
if len(stack) > 0:
return 0
else:
return 1
def top():
if len(stack) == 0:
return -1
else:
return stack[len(stack)-1]
for _ in range(loopCount):
#inputData = input().split()
inputData = sys.stdin.readline().split()
if inputData[0] == "push":
push(inputData[1])
elif inputData[0] == "pop":
print(pop())
elif inputData[0] == "size":
print(size())
elif inputData[0] == "empty":
print(empty())
elif inputData[0] == "top":
print(top())
반응형
'알고리즘 백준문제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python 답 9461번 / 14889번 스타트와링크 / 15654번 (0) | 2022.02.21 |
---|---|
백준 python 9251번 / 1931번 / 1541번 잃어버린 괄호 (0) | 2022.02.10 |
백준 python 2108번 통계학 / 1966번 프린터큐 / 1158번 요세푸스 (0) | 2022.02.08 |
백준 python 5430번 / 11866번 / 4949번 균형잡힌 세상 (0) | 2022.02.06 |
백준 파이선 python 1717번 / 1976번 / 11675번 타임머신 (0) | 2022.02.06 |
댓글